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경영학연구 | 한국경영학회 | 32 pages| 2024.03.28| 파일형태 :
조회 41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광범위한 확산과 더불어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도 함께 성장하고 있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은 개인과 개인 또는 개인과 집단 사이의 정보교환, 비즈니스 네트워크 형성, 친구맺기, 인맥형성 등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야말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없이 사회적 관계 형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의 파급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하여 한.중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외생변수로 서비스 특성, 사용자 특성, 사회적 특성을 사용하였고 서비스 특성은 최신성과 위치 확인성, 사용자 특성은 혁신성과 사용 경험, 사회적 특성은 관계성과 타인이용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변수들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을 매개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의 만족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정보기술 수용 후 기대충족모델(ECM of IS Continuance)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가설을 설정한 후에 자료를 수집하고 가설을 검정하였다.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한 국가 간 비교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에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거나 사용한 경험이 있는 개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한국은 191부, 중국은 186부의 설문을 수행하여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한국 사용자의 경우 최신성과 사용경험, 타인이용도가 지각된 즐거움과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위치확인성과 관계성은 지각된 즐거움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사용자의 경우 최신성과 혁신성, 사용경험은 지각된 즐거움과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위치확인성과 관계성, 타인이용도는 지각된 유용성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과 중국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사용자에 따른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집단 차이분석(Multi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는데 분석 결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사용자들의 경우 타인이용도에서 지각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이 중국의 사용자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유용성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또한 중국사용자들 보다 큰 것으로 드러났다. 중국 사용자들의 경우에는 최신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즐거움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만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등에서 한국의 사용자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한국의 모바일 기기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한국과 중국에서 더 많은 고객을 확보하려면 한국과 중국에 대한 특성과 차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에서 앞서고 있는 한국과 세계적으로 시장 규모가 가장 큰 중국을 비교하여 이론적인 측면과 실무적인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Ⅳ. 연구방법
Ⅴ. 분석결과
Ⅵ.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지속적 사용의도#관계성#타인이용도#한·중 비교연구#Mobile communication service#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Continuance intention#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한국경영학회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